무선어댑터 연결
오늘은 무섭 어댑터 연결에 대해 작성해볼려한다.
무선 어댑터, 무선 랜카드는 이동식 장치에 설치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해킹에 사용하고자 하면 또 장점이 되는데, 해킹에 유용한 랜카드를 고르자면 3가지 기능이 필요하다.
1. 모니터모드(Monitor mode)
2. 패킷 주입(Packet injection)
3. AP 모드
해당 3가지 기능이 있다면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모니터 모드는 모든 패킷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무선 네트워크 카드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하지 않더라도 주변의 모든 무선 패킷을 수신할 수 있기에 무선 네트워크의 트래픽 흐름, 보안 취약점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관리, 보안 분석, 패킷 캡처 등을 할 수있다.
패킷이란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데이터 조각을 의미한다.
패킷 주입(Packet injection)은 네트워크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패킷을 주입하여 중간자 공격, 서비스 거부 공격, 악성코드 유포, 데이터 유출, 권한 상승등을 할 수 있다.
AP모드(Access Point)는 무선장치를 통해 특정한 영역에서 Wi-Fi를 제공하는걸 의미한다.
해당기능은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아무튼 네트워크 연결을 해볼것인데, 칼리를 이용해서 확인해보겠다.
칼리를 킨상태로 무선 랜카드를 꽂게 되면 해당 화면이 나오게 된다.
가상머신에 연결할려 하는거기 때문에 노트북이 아닌 Linux에 연결해준다.
그럼 화면 오른쪽 마우스 커서가 있는 부분을 보았을때 Wired라고 뜨게 된다.
정말로 잘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터미널을 열어 ifconfig를 입력한다.
맨 밑에 wlan0라는 이름으로 잘 연결되있는게 보인다.
eth0은 가상 인터넷 인터페이스, lo는 가상의 루프백 인터페이스이다.
어찌되었건 연결은 잘 되었다.